Surprise Me!

[아는기자]휴전 발표에도…다시 미사일 공방?

2025-06-24 3,069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 시작합니다.<br> <br>외교안보국제부 김민곤 기자 나와 있습니다. <br> <br>[질문1] 김 기자, 방금 전 들어온 소식부터 살펴보죠. 중동 상황이 나아지나 싶었는데, 갑자기 이스라엘이 이란을 타격하겠다고 선포했네요? 어떻게 된 일인가요? <br> <br>[답변1] <br>미국, 이스라엘, 이란, 세 나라 중 미국을 제외한 두 나라 사이엔 아직 앙금이 남아 있는 것처럼 보입니다. <br> <br>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 휴전 분위기를 띄우는 와중에도 이란과 이스라엘은 미사일 공방을 이어왔고 사망자까지 새로 발생했습니다. <br> <br>그렇다 보니 조금 전 이스라엘이 먼저 나서 "이란 정권이 휴전을 심각하게 위반했기 때문에 강력한 무력으로 대응할 것"이라는 경고를 내놨습니다.<br> <br>하지만 이란 국영언론은 "휴전 발효 전에 미사일을 발사했다"는 취지로 보도하면서 트럼프의 심기를 거스르지 않으려는 모습이었습니다.<br> <br>[질문2] 결국 이란으로선 이스라엘이 아닌 미국에는 항복한 셈이네요? <br> <br>[답변2] <br>그렇습니다. <br> <br>미국이 가진 강력한 힘을 무시할 순 없던 겁니다. <br> <br>당장 이틀 전에 미국으로부터 당했던 공습이 치명적이었던 것으로 보이는데요, <br> <br>이란 현지시각 기준으로 22일 새벽 B-2 전략폭격기가 은밀히 침투해 '벙커버스터' 14발을 투하하고 미군 잠수함들도 수십 발의 토마호크 순항미사일을 발사했죠. <br> <br>만약 이란이 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하거나 미군 기지를 기습했다고 가정하면요, <br> <br>바로 옆 바레인을 주둔지로 하는 미 5함대나 인근 해역에 배치된 항공모함 두 척 등의 해군 전력들이 추가로 투입될 위험까지 마주쳐야 할 상황이었습니다.<br> <br>[질문 3] 그래서 이란도 카타르에 있는 미군 기지를 시나리오에 따라 공격했단 얘기가 나오는 거군요? <br> <br>[답변 3] <br>맞습니다. <br> <br>이란이 미군 기지를 공격한 이후의 움직임을 시간순 대로 하나씩 살펴보면 두 나라의 공방이 약속 대련이라는 점을 쉽게 이해할 수 있을 텐데요, <br> <br>미국 워싱턴을 기준으로 현지시각 어제 오후 1시 이란이 카타르에 있는 미 공군 기지로 미사일을 발사합니다. <br> <br>CNN이나 NBC 등 미국 외신에 따르면 그 당시엔 이미 트럼프를 포함한 군 수뇌부가 백악관 상황실에 함께 모여 관련 보고를 받고 있었습니다. <br> <br>이미 공격 사실을 알고 있었단 뜻이죠. <br> <br>결국 트럼프도 세 시간 뒤 이란이 공격 계획을 사전 통보했단 사실을 SNS를 통해 밝혔고, 곧이어 "평화의 시간이 왔다"고 발표했습니다.<br> <br>[질문 4] 결국 트럼프의 뜻에 이란은 동조한 것으로 보이는데, 이스라엘은 어떻습니까? <br> <br>[답변 4] <br>이스라엘도 트럼프의 뜻에 대외적으로 동조하는 모습을 보였습니다. <br> <br>트럼프가 "이스라엘과 이란은 완전한 휴전을 12시간 동안 진행하기로 합의했다"고 먼저 선언하자 압바스 아락치 이란 외무장관은 "이스라엘이 침략을 중단하면 우리는 대응을 계속할 의사가 없다"고 발표했습니다. <br> <br>그러자 이스라엘 총리실 역시 "이스라엘은 양자 휴전 제안에 동의했다"며 "트럼프에 감사를 표한다"는 입장까지 함께 내놨습니다.<br> <br>이란뿐 아니라 이스라엘 역시 미국에 성의를 표한 것으로 풀이됩니다. <br> <br>[질문 5] 결국 미국은 핵무기를 개발하던 이란에 승기를 거둔 것이니, 이제는 핵무기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되는 북한을 상대로는 어떻게 나설지도 궁금해집니다. <br> <br>[답변5] <br>네, 이란과 북한 모두 핵 무기 개발이라는 공통 분모로 엮일 수 있는데요, <br> <br>사실 이란은 핵 무기를 개발 중이었고, 북한은 이미 핵 무기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 이란보다 더 심각한 상황일 텐데요, <br> <br>그럼에도 미국은 북한에는 오히려 대화의 손을 내밀고 있습니다. <br> <br>조셉 윤 주한 미국대사대리는 오늘 오전 한 세미나에서 "트럼프는 북한과의 대화가 재개되길 원할 것"이라고 설명했고, 백악관도 최근 트럼프가 김정은과의 서신 교환에 열려 있다는 입장을 공식 확인했습니다. <br> <br>당장 북한에선 트럼프의 대화 시도에 응답하지 않는 모습이지만, 이재명 정부 역시 북한과의 대화를 중시하는 입장이어서 향후 북미 또는 남북미 대화 가능성도 열려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아는 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김민곤 기자 imgone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